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차량냉각수 교체 시기 및 보충시기

by 호율안 소소한 이야기 2023. 6. 11.
반응형

 

안녕하세요. 어김없이 유용한 정보를 드리는 호율안 소소한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차량 관리 품목에 신경을 많이 안쓰는 것중에 냉각수라는게 있는데 이건 언제 교체해야하고 보충해줘야 하는지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액이라고 불리는 이 냉각수는 냉각라인 부품의 윤활담당을 하면서, 부식을 방지하는 차량에는 매우 중요한 첨가제입

 

니다.  엔진 곳곳을 돌면서 엔진의 열을 식히는 역할도 담당하는데 일반적으로 정수된 물과, 증류수에 방청제를 혼합해

 

서 사용합니다.

 



부동액 산성화와 물의 어는점은 부동액 교환주기를 결정하는 중요합니다. 기준 수치 아래로 떨어지게 되면 냉각 라인에 문

 

제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더 추운 계절이 오기 전에 어는 점 체크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다면 교환하는 것이 좋고 , 아직 냉각수가 깨끗하다면 부동액 원액을 보충하시면 됩니다.

냉각수가 산성화되면 부품과 엔진에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합니다. 대표적으로 차량 앞쪽에 있는 라디에이터의 부식의 피

 

해가 큽니다. 

 



▣ 라디에이터란? 

열을 식히는 역할을 하는데 이렇게 냉각수에 문제가 생기게 되면 라디에이터가 제대로 작동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엔진

 

에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냉각수를 교환하는 방법은 대부분이 순환식 교환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냉각수를 밀어넣어서 기존의 냉각수

 

를 빼내는 방식입니다.

기존의 냉각수가 빠지면 그 때 부동액을 넣어서 냉각라인의 비중을 맞춥니다.

 



차량 관리를 위해서라면 부동액 교환주기를 알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더불어 부동액 경고등이 뜨고 나서 교환하는 것은 매

 

우 좋지 않습니다. 

부동액 교환주기를 체크 하셔서 미리 교환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부동액 교환주기

부동액 교환주기는 구형기준으로 4만km, 신형기준으로 10만km 정도에 교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 부동액 교환주기는 메뉴얼상에 나와있는 주기이기 때문에, 교체할 시기가 아니더라도, 미리 점검하셔서 교환 해주는 것

 

이 좋습니다. 

오염이 많이 된 후는 이미 부품들의 손상이 진행 되고 있으므로 복원하기 힘들게 됩니다. 그래서 미리 점검하는 습관을 권

 

유드립니다.

냉각수 교체할 때, 누수 증상이 보이면 냉각수 누수방지 첨가제도 같이 사용해주시면 좋습니다. 냉각수를 교체하면서 미

 

리 사용하거나 누수가 발생하기 전에 첨가해주시면 가장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